728x90
반응형
장외시장(OTC, Over-the-Counter Market)의 개념과 기능, 특징 및 발전 방향
1. 서론
금융시장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는 장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은 거래소(Exchange)에서 이루어지는 장내시장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거래소 밖에서도 다양한 금융상품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을 장외시장(Over-the-Counter, OTC)이라고 부릅니다.
장외시장은 장내시장에 비해 덜 공식적이고, 더 유연하며, 다양한 맞춤형 금융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규제의 강도가 낮고, 거래 투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장외시장의 정의와 역사, 거래 구조, 상품 종류, 장단점, 규제 현황,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2. 장외시장의 정의와 역사
2.1 정의
- 장외시장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 거래소를 통한 표준화된 거래가 아니라, 금융기관, 기업, 개인 등 거래 당사자 간의 협상을 통해 직접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2.2 역사적 배경
- 미국: 20세기 초, 중소기업 주식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되지 못하자 은행과 증권사 네트워크를 통해 비공식 거래를 시작 → 나중에 NASDAQ(초기에는 OTC Bulletin Board 형태)이 형성
- 한국: 1996년 코스닥(KOSDAQ) 출범 전, '장외등록주식'이 증권사 창구에서 거래되었음. 현재도 비상장주식·파생상품·채권 등은 OTC 형태로 거래됨.
3. 장외시장의 거래 구조
장외시장은 거래소의 중앙집중식 매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집니다.
3.1 주요 거래 방식
- 브로커(중개인) 거래
- 증권사나 중개인이 양측을 연결
- 수수료 발생
- 딜러(자기계정) 거래
- 금융기관이 직접 매수·매도 호가를 제시
- 차익을 수익으로 취함
- 직접 거래
- 기업·기관·개인이 직접 협상
3.2 가격 형성
- 장내시장: 공개 호가에 따른 실시간 가격
- 장외시장: 개별 협상 가격, 비공개 거래 많음
4.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 종류
4.1 비상장주식
-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을 원하지 않는 기업의 주식
- 스타트업, 중소기업 투자에 활용
- 예: 카카오(과거 장외 거래 후 코스닥 상장), 빅히트엔터테인먼트(상장 전 거래)
4.2 채권
-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
- 대규모 기관 간 블록 거래 형태 많음
- 장외 채권시장은 장내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
4.3 파생상품
- 금리스왑, 통화스왑, 신용부도스왑(CDS) 등
- 맞춤형 구조 설계 가능 → 기업 리스크 관리에 필수
4.4 외환
- 글로벌 외환시장은 대표적인 OTC 시장
- 은행 간 네트워크를 통해 24시간 거래
4.5 기타
- 원자재, 탄소배출권, 구조화금융상품 등
728x90
5. 장외시장의 장점과 단점
5.1 장점
- 유연성
- 맞춤형 계약 가능
- 거래 조건(만기, 금리, 규모 등) 조정 가능
- 상품 다양성
- 거래소에 없는 특수상품 거래 가능
- 비용 절감
- 상장·등록 비용 없음
- 비공개성
- 민감한 거래를 외부에 알리지 않을 수 있음
5.2 단점
- 투명성 부족
- 가격·거래량 정보가 제한적
- 유동성 위험
- 거래 상대방을 찾기 어려울 수 있음
- 신용위험
- 중앙청산소(CCP) 부재로 거래 상대방 부도 시 손실 위험
- 규제 사각지대
- 감독기관의 통제가 약한 경우가 많음
6. 장외시장과 장내시장의 비교
구분 | 장내시장 | 장외시장 |
---|---|---|
거래 방식 | 거래소를 통한 표준화된 거래 | 당사자 간 협상 |
상품 형태 | 표준화 계약 | 맞춤형 계약 가능 |
투명성 | 높음 | 낮음 |
유동성 | 일반적으로 높음 | 상품·조건에 따라 상이 |
규제 | 엄격 | 비교적 완화 |
예시 | 코스피, 코스닥, CME, NYSE | 비상장주식, 외환, 금리스왑 |
7. 장외시장의 규제와 감독
7.1 글로벌 규제 동향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OTC 파생상품 시장의 불투명성과 시스템 리스크가 부각
- G20 국가들, OTC 파생상품 거래를 중앙청산소(CCP)로 이관하고 보고 의무 강화
7.2 한국의 규제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감독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부 OTC 파생상품 보고 의무화
- 비상장주식 거래는 '증권플러스 비상장', '서울거래소 비상장' 등 플랫폼에서 합법적·투명하게 진행
8. 장외시장의 리스크 관리
8.1 신용위험 관리
- 담보 설정, 마진콜 제도
- 거래 상대방 신용평가 실시
8.2 시장위험 관리
- 헤지 거래(예: 파생상품을 통한 위험 분산)
- 손익 시뮬레이션
8.3 운영위험 관리
-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
- 거래 기록·보고 체계 확립
9. 기술 발전과 장외시장의 변화
9.1 전자거래 플랫폼 확산
- 장외채권·외환·비상장주식 거래에 온라인 플랫폼 도입
- 거래 효율성과 투명성 개선
9.2 블록체인 활용
- 거래 기록 위·변조 방지
-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로 결제 자동화 가능성
9.3 핀테크와의 융합
- 스타트업 투자 플랫폼, P2P 금융
- 비상장주식·대체투자상품 거래 활성화
10. 한국 장외시장의 발전 방향
- 투명성 강화
- 거래 정보 공개 범위 확대
- 플랫폼 표준화
- 전자거래 인프라 구축
- 규제 균형
- 혁신과 투자자 보호의 조화
- 국제 협력
- 해외 OTC 시장과의 연계 강화
- 교육·정보 제공
- 투자자 이해도 제고
11. 결론
장외시장은 장내시장을 보완하는 중요한 금융시장입니다. 거래소가 다루지 못하는 맞춤형 거래와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금융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기업과 투자자에게 더 넓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낮은 투명성과 신용위험, 규제 사각지대 등의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장외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적 혁신과 제도적 보완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향후 전자거래 플랫폼,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과 결합함으로써 장외시장은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시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 Hull, John C.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earson, 2021.
- BI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OTC derivatives market statistics.
-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 한국거래소(KRX), 장외채권시장 안내자료.
- G20 Leaders' Statement, Pittsburgh Summit, 2009.
728x90
반응형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소득의 개념과 유형, 특징 및 관리 전략 (3) | 2025.08.14 |
---|---|
장단기금리차(長短期金利差)의 의미와 경제적 함의 (48) | 2025.08.12 |
장내시장(거래소시장) 완벽 가이드 - 개념, 구조, 기능, 역사, 그리고 미래 전망 (62) | 2025.08.11 |
장기침체란 무엇인가 - 원인, 영향, 대응전략까지 총정 (100) | 2025.08.08 |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의 구조와 기능 - 경제의 중추를 이해하다 (56)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