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iro2 지로(GIRO) 제도란 무엇인가? – 한국 지급결제의 근간을 이루는 시스템의 이해 지로(GIRO) 제도란 무엇인가?한국 지급결제의 근간을 이루는 시스템의 이해1. 서론: 지로(GIRO), 우리 금융생활 속의 숨은 인프라오늘날 우리는 간편송금, 인터넷뱅킹, 자동이체 등 다양한 전자금융 서비스를 일상처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 간 자금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지급결제 인프라가 필요하다.그중에서도 '지로(GIRO)' 제도는 우리나라 지급결제 시스템의 역사적 기반이자, 현재까지도 공공요금 납부와 기업 간 결제, 대량자금이체의 핵심축으로 작동하고 있다.이 글에서는 지로제도의 개념, 역사, 운영 구조, 활용 분야, 그리고 최근의 디지털 전환과 한계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본다.2. 지로(GIRO)의 개념2.1 지로(GIRO)의 어원과 의미'.. 2025. 11. 4. 지급준비제도,지니계수,지로(GIRO) 지급준비제도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채무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은행이 예금고객의 지급요구에 응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유동성 자산을 지급준비금이라 하고, 적립대상 채무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 을 지급준비율이라 한다.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있는 자금(지준예치 금)과 보유하고 있는 현금(시재금)으로 구성된다.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는 1863년 미국에서 예금자보호를 위해 법정지급준비금을 부과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다. 그 후 1930년대 들어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급준비제도는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 단으로 그 위상.. 2023. 10. 2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