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용어

속물효과(스놉효과),수요견인 인플레이션,수요탄력성

by kuksool 2023. 9. 25.
728x90
반응형

 

속물효과(스놉효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는다. 명품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를 속물효과 또는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 한다. 즉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난다. 이 용어는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놉(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전시효과는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반응형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이란 경기과열 등으로 인해 개인들의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해진 재화 및 서비스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생산요소 시장과 생산물시장 모두에서 초과수요가 발생할 때 특히 분명하게 나타난다. 확대재정정 책, 과도한 통화량 증가, 민간소비나 투자의 갑작스러운 변동에 따른 수요충격 등은 총수요를 증가시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정부가 침체에 빠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정부지출을 확대하고 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급격한 확대 재정정 책을 시행하였다면 총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수요탄력성

상품의 가격 변화비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비율을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이라 한다. 탄력성은 반응의 크기를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다. 충격을 주는 쪽과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을 비교하여 같은 경우를 단위 탄력적이라고 하고,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이 더 높으면 탄력적,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경우, 한 상품의 가격의 변화비율과 수요량의 변화비율이 동일할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 은 1이 되며, 이 경우 수요가 단위 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량의 변화비율이 가격의 변화비율보다 작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으면 수요가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반면 수요량의 변화비율이 가격의 변화비율보다 높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게 되면 수요가 탄력적이라고 한다.

 

nob effect (snob effect)

Individual seekers do not buy certain items just because others buy them a lot, or even don't wear them anymore when they see someone wearing the same clothes as them. It is a common phenomenon in the consumption of luxury brands, and this is called the snob effect or the snob effect. In other words, as more people consume a particular product, the demand for the product decreases, and when the price rises, the demand increases. The term was first used by H. Leibenstein in 1950 to refer to the phenomenon in which snobs (pompous snob with property and status) preferred brand items affect the general purchasing population. On the contrary, the exhibition effect refers to a case where demand increases as more people consume a product.

 

 

demand-driven inflation

Demand-pull inflation refers to the continuous rise in prices of goods and services that have become relatively scarce as individuals' demand for goods or services increases significantly due to economic overheating. This demand-driven inflation is particularly evident when excess demand occurs in both the production factor market and the product market. Expansionary fiscal policies, excessive monetary volume growth, and demand shocks from sudden fluctuations in private consumption or investment increase aggregate demand, causing demand-driven inflation. For example, if the government implemented rapid expansionary fiscal policies, such as expanding government spending and lowering tax rates, to boost the sluggish economy, aggregate demand could increase, resulting in demand-driven inflation.

 

Elasticity of demand

The ratio of change in demand to the ratio of change in the price of a product is called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Elasticit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Comparing the rate of change between the shocker and the reacting side, the same case is called unit elastic, and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reacting side is higher, it is called elastic, and if it is small, it is inelastic. In the case of price elasticity of demand, if the rate of change in the price of a product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amount of demand are the same,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1, and in this case, demand is said to be unit elasticity. If the rate of change in demand is small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price, and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less than 1, demand is said to be inelastic. On the other hand, if the rate of change in demand is high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price, and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greater than 1, demand is said to be elastic.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