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57

고소와 고발의 차이 I. 고소와 고발의 차이 1. 들어가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웃 일본에 비하여 고소, 고발이 국민 1인당 고소, 고발건수가 많다는 통계가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우선시되는 것이 고소, 고발의 경우 비용이 들지 않는 다는 것이다. 민사소송의 경우 법원에 인지대와 송달료, 때로는 변호사 선임료를 들여야 하지만, 형사고소의 경우 경찰, 검찰 등 수사기관이 조사를 하고, 합의를 보게끔 하기 때문에 민사, 형사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돈 안드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민사상 채무불이행도 형사상 사기죄로 고소, 고발하는 경향이 다분이 있다. 먼저, 고소, 고발, 진정 등의 정확한 법적 의미를 검토해 보자. 2. 고소와 고발의 법적 개념 형사소송법 제223조(고소권자)는 범죄로 .. 2023. 12. 16.
의료분쟁 I. 기본 개념 정리 1. 의료과오란 의료행위가 당시의 의학지식 내지 의료기술의 원칙에 따라 의료인에게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게을리함으로써 적합한 것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서 의료행위상의 잘못을 총칭한다. 2. 의료과실이란 의료행위상의 잘못에 대하여 법적으로 비난할 수 있는 요소로서 사법상으로는 일정한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주의로 인식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고, 형사상으로는 정상의 주의를 태만함으로 인하여 죄의 성립요소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의료과오는 의료과실을 전제로 하고, 의료과실의 중심은 주의의무 위반이 된다.  3. 의료사고란 환자가 의료인으로부터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서 발생된 종료 예상외의 악결과 또는 본래의 의료행위가 개시되어 종료되기까지의 과정이나 그 후.. 2023. 12. 1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 제정목적 및 주요내용 I.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 제정목적 및 주요내용 1. 들어가며 오늘날 대중교통 및 승용자 등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사고 발생은 언제 자신에게 닥칠지 예상할 수 없게 되었다. 운전자가 아무리 방어 운전을 하더라도 누군가가 뒤에서 충격할 수 있고, 보행자가 아무리 횡단보도 신호에 따라 보행을 하더라도 음주차량 등의 충격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하여 모든 국민은 교통사고의 잠재적 가해자인지 피해자가 된다. 이에 자동자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이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하 자배법이라 함)이다. 먼저, 이 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 자배법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사람이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재물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에 있어서의 손해배상을 보장하는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피해자를 보호하고.. 2023. 12. 14.
소비자기본법의 제정목적 및 주요내용 I. 소비자기본법의 제정목적 및 주요내용 1. 논의의 전제 모든 거래는 수요자와 공급자가 있다. 수요자를 소비자라고 하는데, 현대는 소비자의 권리의식이 고양되면서, 소비자주권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슈퍼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피시방에서 피시를 이용하거나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보거나, 법률사무소에 사건을 의뢰하거나 이를 이용하는 자는 전부 소비자가 된다. 따라서, 적어도 현대를 살아가는 소비자라면, 소비자의 법적인 권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로서 크고 작은 피해를 입은 경우 법적인 권리구제절차가 어떻게 되는지도 분명히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2. 소비자 기본법의 제정 목적 및 주요 개념 과거 소비자보호법이 2006. 9. 27.자로 소비자기본법으로 변경되었고, .. 2023. 12. 13.
728x90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