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용어

금리자유화,금리평가이론,금본위제

by kuksool 2023. 9. 3.
728x90
반응형

 

금리자유화

금리자유화란 금리규제를 철폐함으로써 금리가 시장의 자금수급에 따라 자유로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이다. 금융시장의 대표적인 가격변수인 금리를 제한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보아 미국 등 다수의 국가에서 금융불안이 반복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금융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금융규제의 하나이다. 이러한 구조적 금융규제로는 금리규제 이외에 업무영역규제, 진입제한 등이 있다. 그러나 1970~80년대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은행의 자금중개가 위축되는 이른바 디스인터미디에이션(disintermediation) 이 발생하는 가운데 금융규제를 우회하는 금융혁신이 진전되고 금융자유화가 추진되면 서 각국은 금리규제를 단계적으로 철폐하였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우 ‘레귤레이션 큐(Q)’라는 연준 규정에 의해 은행예금 최고금리가 제한되었는데, 1980년대 일련의 자유화조치 등으로 금리자유화가 진전되었다. 한국은 금융기관 간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금융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산업의 대외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1991년 8월 수립된 “4단계 금리자유화 추진계획”에 따라 1995년 11월 제3단계 금리자유화를 완결하였다. 이어 2004년 2월부터는 요구불예금 금리도 자유화함에 따라 모든 예금의 금리상한 규제가 폐지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부문 낙후의 주요 원인이 금리의 가격기능 위축에 있다는 점에서 금리자유화는 시장원리에 의한 경제운용과 통화정책의 유효성 제고를 위한 기반이 되었다.

 

금리평가이론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즉, 국경간 자본이동에 규제가 없고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2개국 간의 금리격차는 선물환 프리미엄(또는 스왑레이트)과 같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가진 우리나라의 투자자가 1년간 미국 또는 우리나라의 채권에 투자한다고 하자. 이 경우 완전한 금융시장에서는 1년후 투자자가 받는 원리금액은 한국에 투자한 것이든 미국에 투자한 것이든 같아야 하는데, 이는 아래 식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1억(1+i) = (₩1억/S)(1+i*)F 

단, i: 한국 1년물 채권금리

i*:미국 1년물 채권금리

S: 현물환율

F: 1년만기 선물환율. 

 

위 식은 아래 식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S)/S = (i-i*) 

 

즉,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양국간 금리차는 현물환율(S)과 선물환율(F)간 차이를 현물환율로 나눈 것(흔히 스왑레이트라 한다)과 같아야 한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거래비용 등이 있기 때문에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데, 양자간의 차이(내외

금리차-스왑레이트)가 커질 경우 환위험 없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정거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안정적일 경우 양자간 차이는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금본위제

금본위제란 각국의 통화가치를 순금의 일정한 중량으로 정해 놓고 금화의 자유로운 주조와 수출입을 허용하며 이를 지폐나 예금통화 등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금본위제하에서 각국 통화는 금의 중량을 기준으로 그 가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통화 간 교환비율은 금을 통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금본위제는 전형적인 고정환율제도이다. 1800년대 영국의 금본위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채택하였다. 금본위제는 금의 국제수지 및 국내물가 자동 조절기능을 통해 국제금융 및 세계경제의 발전에 공헌하였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국들이 과다한 전비지출로 말미암은 인플레이션과 정치적 불안 등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이 높아졌다. 특히, 전후 영국이 과대평가된 파운드화의 가치로 인한 막대한 실업과 수출산업의 침체를 겪고 이어서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세계 대공황 등이 발생함에 따라 영국은 1931년 금본위제를 포기하고 파운드화의 평가절하를 단행하였다. 이후 주요 선진국들도 금본위 제를 포기하고 변동환율체제로 전환하면서 금본위제는 결국 붕괴하였다.

 

liberalization of interest rates

Interest rate liberalization is a measure that allows interest rates to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rket's supply and demand by removing interest rate regulations. Limiting interest rates, a representative price variable in the financial market, has historically been one of the financial regulations introduced to promote financial stability as financial instability occurs repeatedly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o interest rate regulations, these structural financial regulations include business area regulations and entry restrictions. However, as inflation intensified in the 1970s and 1980s, so-called disintermediation occurred, and financial innovation bypassing financial regulations progressed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was promoted, each country phased out interest rate regulations. Typically,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maximum interest rate on bank deposits was limited by the Fed regulation called "Regulation Queue," and interest rate liberalization progressed in the 1980s due to a series of liberalization measures. Korea completed the third phase of interest rate liberalization in November 1995 in accordance with the "Four Phase Rate Liberalization Promotion Plan" established in August 1991 to enhance financial efficiency and strengthen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by promoting competition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Subsequently, from February 2004, as interest rates on demand deposits were also liberalized, regulations on the upper limit of interest rates on all deposits were abolished. In the case of Korea, interest rate liberalization has become the basi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 management and monetary policy based on market principles, given that the main cause of the financial sector's backwardness is the shrinking price function of interest rates.

 

반응형

theory of interest rate evaluation

In a complete financial market, that is, if there is no regulation on cross-border capital movement and transaction costs or taxes are not considered, the interest rat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the same as the forward exchange premium (or swap rate). For example, suppose a Korean investor with 100 million won invests in U.S. or Korean bonds for one year. In this case, in a complete financial market, the principal amount that an investor receives after one year must be the same whether it is invested in Korea or the United States, which can be expressed as follows.

 

₩100 million (1+i) = (₩100 million/S) (1+i*)F

 

But i: S. Korea's 1-year bond rate

i*: U.S. 1-year bond rate

S: spot exchange rate

F: One-year futures exchange rate.

 

The above expre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S)/S = (i-i*)

 

In other words, in a complete financial market, the difference in interest ra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hould be the sam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ot exchange rate (S) and the futures exchange rate (F) divided by the spot exchange rate (often referred to as the swap rate). However, in reality, the two do not necessarily match because of transaction costs, etc.,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ide and outside)

 

If the interest rate difference-swap rate) increases, fiscal transactions occur because profits can be made without foreign exchange risks. Accordingly, if the financial market is stab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mains within a certain range.

 

 

the gold standard

The gold standard system is a system that allows the free casting and import of gold coins by setting the value of each country's currency at a certain weight of pure gold, and allows them to be exchanged for banknotes and deposit currencies. Under the gold standard, currencies in each country are valued based on the weight of gold, so the exchange rate between currencies is fixed through gold, so the gold standard is a typical fixed exchange rate system. Start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gold standard in the UK in the 1800s, major countries such as Germany, the Netherlands, Norway, Sweden, Denmark, France, and Japan adopted the gold standard. The gold standar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nd global economy through the automatic control of gold's international balance and domestic prices, but after World War I, major countries faced problems such as inflation and political instability caused by excessive spending. In particular, after the war, Britain suffered massive unemployment and a slump in the export industry due to the overvalued pound, followed by hyperinflation in Germany and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British gave up the gold standard in 1931 and devalued the pound. Since then, major developed countries have also abandoned the gold standard and switched to a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which eventually collapsed.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oading